학부공지
- 등록일
- 2019-03-08
- 작성자
- 고고인류학과
- 조회수
- 3458
고고인류학과 학점이수 및 졸업자격인정원 안내
2022.1.17. 수정
졸업학점 : 130학점 이상
▶교양학점
▷~2015학번 : 30학점 이상(실용영어 포함)
▷2016학번 : 30학점 이상(실용영어, 소프트웨어영역 포함)
▷2017학번 : 30학점 이상(실용영어, 소프트웨어영역, 인문교양 8학점 이상 포함)
▷2018학번 이후 : 24~42학점
- 첨성인기초 : 3학점 이상(독서와 토론, 사고교육, 글쓰기 영역)
구분 | ~ 2016학번 | 2017학번 | 2018학번~ |
이수학점 | 30학점 이상 | 30학점 이상 | 24학점 이상 42학점 이하 (초과 이수시 졸업학점에 미포함) |
인문교양 | 미포함 | 인문교양 8학점 포함 | 인문교양 8학점 포함 |
영역별 필수과목 | 영역구분 없음 | <첨성인 기초> -‘독서와토론’, ‘사고교육, ‘글쓰기 중 3학점 이상 이수 <첨성인 핵심> - ‘인문·사회’영역 3학점 이상 이수 - ‘자연·과학’영역 3학점 이상 이수 | |
※ “첨성인 기초” 및 “ 첨성인 핵심” 영역은 반드시 본교에 개설된 과목 이수 |
- 첨성인핵심 : 6학점 이상(인문·사회영역 3학점 이상 이수, 자연·과학 영역에서 3학점 이상 이수)
※ 일반편입생, 외국인 학생은 영역구분 없이 이수(인문교양 8학점도 미적용)
※ 학사편입자의 교양학점은 최소 교양학점(24학점)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 (교양과목 추가 이수할 필요 없음)
※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 중 교양과목 이수학점이 42학점을 초과한 경우, 평점평균 산출에는 포함이 되나 졸업학점에는 미포함
(예) 졸업학점 130학점인 학과 소속 학생이 총132학점을 이수했고 그 중 교양을 45학점(3학점 초과) 이수한 경우, 졸업학점 산정 시 최종 이수학점이 129학점으로 졸업 불가
▶전공학점
▷2006~2017학번 : 전공 48학점 이상 이수
▷2018학번~ : 전공 51학점 이상 이수
▷전공필수과목
-2015~2017학번 : 한국고고학입문, 문화의이해, 고고학이론과방법, 인류학이론과방법
-2018학번~ : 고고학입문, 문화의이해, 인류학이론과방법, 고고학이론과방법, 고고학실습, 문화현장조사실습(=인류학현지조사)
※ 복수전공, 부전공, 연계전공, 융합전공 등 미이수시 전공 15학점 이상 추가 이수
▶현장실습(샌드위치교육, 해외인턴과정) 및 해외어학연수 취득학점
- 현장실습은 최대 36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으며, 전공 또는 일반선택으로 인정
- 해외어학연수는 최대 12학점까지 인정받을 수 있으며, 일반선택으로 인정
▸졸업을 위한 전공학점(최소전공학점) 및 교양학점(최소교양학점)에는 포함되지 않음
▶졸업 성적 기준 : 평점평균 1.7이상 (4.3만점 기준 적용/F학점 포함)
※ 2013학년도 2학기까지 성적은 F학점 미포함
- 조기졸업자는 등록학기 6학기 이상이며, 평점평균 3.7이상임
- 학‧석사 및 학‧석박사통합연계과정 선발자는 등록학기가 7회 이상, 평점평균 3.0이상임
▸ 단, 평점평균이 3.7이상인 경우, 등록횟수 6회자도 졸업신청 가능
▶복수전공
- 복수전공 이수자의 입학연도 기준으로 복수전공 학과(부)의 전공 이수학점으로 함
※ 2006∼2011학년도 신입생이 인문대학, 사회과학대학 및 자연과학대학 소속 학과(부)를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경우, 복수전공 이수학점은 35학점 이상
-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복수전공 필수과목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이수해야 함
- 주전공의 졸업요건을 충족하더라도 복수전공의 졸업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졸업 불가
▶부전공 : 21학점 이상 이수
-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부전공 필수과목이 있는 경우, 반드시 이수해야 함
- 21학점 이상 이수 시 부전공 인정, 부전공 인정 신청원 제출해야 인정
※ 다전공(복수전공, 부전공, 연계전공, 융합전공 등)은 전공‧학번별 이수학점, 필수과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교육과정편람 확인 및 해당학과에 문의
▷편입생 : 졸업학점 65학점 이상
구분 | ~2017학번 | 2018학번~ | ||||
교양 | 전공 | 기타 | 교양 | 전공 | 기타 | |
일반편입 | 전적대학 교양 30학점 미만일 경우 추가 이수 필요 | 전공필수 포함 48학점 이상 이수 | 교양, 전공, 일반선택 등 17학점 이상 이수 | 전적대학 교양 30학점 미만일 경우 추가 이수 필요 | 전공필수 포함 51학점 이상 이수 | 교양, 전공, 일반선택 등 14학점 이상 이수 |
학사편입 | 최소 교양학점 이수 인정 (추가 이수 필요 없음) | 최소 교양학점 이수 인정 (추가 이수 필요 없음) |
※ 편입생 복수전공은 입학 1년 이후 가능
※ 졸업자격요건 중 실용영어, 소프트웨어영역 면제
▶ 졸업자격요건
- 2008학번∼2011학번 : 실용영어 영역, 전공 영역(졸업논문)
- 2012학번∼2015학번 : 실용영어 영역, 전공 영역, 지도교수 상담(8회 이상)
- 2016학번∼2017학번 : 실용영어 영역, 전공 영역, 지도교수 상담(8회 이상), 소프트웨어 영역
- 2018학년도 이후 입학자 : 실용영어 영역, 전공 영역, 지도교수 상담(8회 이상), 소프트웨어 영역, 학과답사 5번 이상 참석(2020~2021 특강 참여 인정)
◎ 실용영어 영역
- 실용영어 4학점을 이수한 자
- 영어영문학과, 영어교육과 학생 및 동 학과를 복수전공, 부전공으로 이수한 자
- 신입생 대상 실용영어진단평가에 응시하여 700점 이상의 점수를 취득한 자
- TOEIC(이 대학 어학교육원 모의TOEIC 포함) 등 총장이 인정하는 공인영어시험에서 TOEIC 시험성적 기준 700점(타 시험은 이에 상응하는 점수)이상 취득한 자
- 우리 대학 어학교육원에서 원어민 영어회화과정을 이수한 자로서 이수시간이 120시간 이상인 자
- 재학 중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에서 해외 어학연수, 해외 인턴십 및 교환학생으로 3학점 이상 취득한 자
※ 공인 영어시험 및 모의 TOEIC 성적은 졸업자격인정원 제출일로부터 2년 이내 성적에 한해 인정
◎ 전공 영역(졸업논문)
- 본문 형식 : A4, 신명조 10 point, 줄간격 160%, 표지, 목차, 참고문헌 제외 25페이지 이상의 분량
- 겉표지 : 대학원 학위논문 양식과 같은 미색의 종이(LEATHACK 레자크 #64)
- 목차, 서론(I장), 본론(Ⅱ~Ⅳ), 맺음말(Ⅴ), 참고문헌(인용문 등 주석 표기)
- 단면인쇄 책 제본 제출(링제본 x)
◎ 상담 영역 : 지도교수와 상담 8회 이상. knucube에서 상담내역 출력
◎ 소프트웨어 영역
- 교양 첨성인기초영역의 소프트웨어 관련 과목(SW와문제해결기초, 문화기술개론, SW사고기법, 소셜네트워크, 웹프로그래밍기초, 파이선프로그래밍, C/C++프로그래밍기초, SW컨텐츠제작, 인공지능의 이해, 빅데이터 기초 실습) 중 3학점 이상을 이수한 자
- 각 학과에서 지정한 소프트웨어 관련 대체과목을 3학점 이상 이수한 자
- 이 대학 정보전산원(교육센터 포함)에서 실시하는 교육과정(단기강좌 등) 이수자로서 각 과정별 이수시간의 합계가 45시간이상인 자
- 전산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자(※ 2019학번부터는 입학 이후 취득한 자격증만 인정)
- 그 밖의 총장이 인정하는 컴퓨터관련 교육과정 이수자 (이수증 제출)
☞ 졸업자격인정원과 성적증명서(어학시험 성적), 졸업논문, 상담내역 등 학과사무실 제출